미세먼지 저감사업
	
		정부의 미세먼지 저감목표 : 30%저감(2022년까지)
 
		- 
			
				- 해외 주요 국가와 비교할 때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농도는 2배 정도 높은 수준입니다.
 
				- 
					2017년 기준 해외 주요 도시별 미세먼지 농도.
					
						
							| 미세먼지농도 | 
							한국(서울) | 
							미국(LA) | 
							일본(도쿄) | 
							프랑스(파리) | 
							영국(런던) | 
						
						
							| PM10  ㎍/㎥ | 
							44 | 
							33 | 
							17 | 
							21 | 
							17 | 
						
						
							| PM2.5 ㎍/㎥ | 
							25 | 
							14.8 | 
							12.8 | 
							14 | 
							11 | 
						
						
					
					출처 : 환경부
				 
				- 경유차는 국내 미세먼지 주요 배출원이며, 수도권의 경우 가장 높은 배출 비중을 차지합니다. 
				[수도권 : 경유차 22%, 선박ㆍ건설기계 20%, 냉난방 등 12%, 사업장 11% (`15년)]
				특히, 경유차는 일상생활 주변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으로서 배출량에 비해 건강 위해도가 더 높습니다.
				[LA사례  :  경유차의 대기중 PM2.5 농도 기여도는 약15%이나, 발암 위해성 기여도는 약68%]. 
				- 2016년 OECD 보고서에 따르면  대기오염으로 인한 한국의 조기사망자는  2010년 1만 7,000명에서 2060년 5만 2,000명으로  OECD 가입국 중 유일하게 100만명 당 1,000명이 넘어설 것으로 전망됩니다.
 
			
		 
	
	
		파란하늘은 매연저감첨단소재를 무상으로 지원합니다.
		차량, 선박, 경운기, 오토바이, 산업용장비, 보일러  등에서 
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획기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습니다.
	 
	
		미세먼지저감사업 추진
 
		- 
			
				- 미세먼지 주요 배출원인 차량, 선박, 경운기, 오토바이 및 산업용장비, 보일러 등에서 발생하는 매연과 오염물질을 최우선적으로 저감해야 합니다.
 
				- 
					파란하늘은 선처리방식의 미세먼지첨단저감소재를 무상으로 지원합니다. (최고 80% 이상 매연 감소)
					[공공기관/단체/협회/기업 등과 업무협약체결 후 무상지원 합니다(개인은 제외)] 
				 
				- 
					국내 주요 미세먼지 저감소재 현황
					
						
							| 처리방식 | 
							소재 | 
							효과 | 
							가격 | 
							장단점 | 
						
						
							| 처리방식선처리 | 
							소재E P B  (Energy Power Bar) | 
							효과최고 80% 이상 매연 감소  (저감물질 : CO2,NO,HC) | 
							
								가격
								
									
										| 소형,중형 | 
										: | 
										10~50만원 | 
									 
									
										| 대형 | 
										: | 
										100~150만원 | 
									 
									
										| 중장비 | 
										: | 
										150~200만원 | 
									 
								 
							 | 
							장단점이온세라믹 신소재  반영구적 사용 가능  연료 절감 효과 | 
						
						
							| 처리방식후처리 | 
							소재D P F   (Diesel Particulate Filter) | 
							효과최고 25~70% 이상 매연 감소 | 
							
								가격
								
									
										| 소형 | 
										: | 
										98~414만원 | 
									 
									
										| 중,대형 | 
										: | 
										700만원 | 
									 
									
										| 중장비 | 
										: | 
										1,500만원 | 
									 
								 
							 | 
							장단점년1회 필터클리닝  출력저하, 연비저하  고가 및 A/S 추가비용 | 
						
					
					
						- ※ 선처리 방식 : 
 
						- 연료가 엔진 내부에서 연소하기 전에 표면장력을 줄이고, 이온화를 촉진하여 산소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연소효율을 높히고, 연소속도를 증가시켜 매연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처리방법.
 
					
					
						- ※ 후처리 방식 : 
 
						- 연료가 엔진 내부에서 연소한 후 배기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매연을 재처리하여 매연을 저감시키는 처리방식. 사용기간이 길어질수록 필터에 쌓인 불순물을 제거해야 하며, 출력과 연비가 저하될 수 있음. 
 
					
				 
				- 미세먼지저감소재는 고가의 장비입니다. 
미세먼지 저감의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미세먼지첨단소재를 적극적으로 무상지원해야 합니다.